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알뜰폰, 유심 반값 요금제!

나무이야기님 2025. 3. 25. 23:27

목차



    요즘 SKT, KT, LG U+ 3사의 요금제가 너무나도 비싸죠? 10만 원이 넘는 요금제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판매 중입니다. 다행히도 우리에겐 아주 저렴한 알뜰요금제라는 대안이 있습니다. 비싼 요금을 계속 쓰실 건가요? 너무 좋아 추천을 안 할 수가 없네요.

     

     

     

     

     

    1. 얼마나 싼가요?

    • 월 15,900원: 7GB 기본 제공, 소진 시 최대 1 Mbps 속도로 무제한 이용 가능. 통화 무제한, 추가 데이터 프로모션도~
    • 월 9,900원: 1GB 기본 제공, 소진 시 최대 1 Mbps 속도로 무제한 이용 가능. 통화 문자 무제한

    지금 판매 중인 대표 알뜰 요금제입니다. 월 9,900원 요금제의 경우 통신 3사에서는 3만 원 때의 요금제로 약정을 걸어도 월 2.5 만전 후의 비용을 납부해야 합니다. 월 15,930원 요금제의 경우, 통신 3사에서는 5만 원 때의 요금제로 약정할인을 받아도 4만 원 전후로 요금이 나오시네요. 3사의 경우 추가로 가족결합 할인도 받으실 수는 있지만 결합까지 계산해 봐도 유심요금제가 압도적으로 저렴합니다.

     

     

     

    또한 3사의 요금제는 약정이라는 것이 들어가야 해 중간에 해지 시 할인해 준 금액을 그대로 위약금으로 납부해야 하지만, 유심요금제는 약정이 없어 언제든 해지가 가능하네요.

     

    *가장 많이 찾는 7G 요금제 기준

      유심 요금제(알뜰폰) SK KT LG
    월 요금 15,900원 45,000원 45,000원 47,000원
    약정시 무약정 33,750원 33,750원 35,250원
    월 데이터 7G+1,000kbps
    (+5G 추가)
    8G+400kbps 7G+400kbps 9G+400kbps
    결합시 추가 할인 없거나 1천원 내외 6,000원 정도 0~11,000원 정도 2,200~4,400원
    제휴카드 할인 가능 가능 가능 가능

    알뜰폰-유심요금제알뜰폰-유심요금제
    알뜰폰-유심요금제

     

     

    2. 유심 반값 요금제란?

    알뜰폰 사업자들은 전국에 통신망을 다 구축(설치) 할 만큼의 돈이 없습니다. 할 필요도 없고요. 알뜰폰 사업자들에게는 자체 망이 아닌 통신 3사의 통신망을 비용을 지불하고 대여, 빌려와서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업 승인을 해 줍니다. 그리고, 망 대여 시 정부가 나서서 협상을 해주다 보니 저렴하게 망을 빌려올 수 있게 되었네요. (쉽게 승인을 해주다 보니 60여 개가 넘는 알뜰폰 업체가 있습니다.)

     

    쉽게 싼 가격에 망을 빌려와서 우리에게 싼 가격에 요금제를 판매할 수 있는 것이죠. 이렇게 해서 나온 요금제들이 알뜰 유심 반값 요금제 서비스입니다.

    알뜰폰-유심요금제알뜰폰-유심요금제
    알뜰폰-유심요금제

     

     

    3. 알뜰폰 유심요금제의 장점

     

    1. S사, K사, L사 이용고객 모두 번호이동으로 쉽게~

    기존 3사에서 쓰시던 번호 그대로, 요금제만 변경되기 때문에 쉽고 간편하게 알뜰폰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까운 알뜰폰을 취급하는 판매점들(대리점 아님),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유심, 인터넷 알뜰폰 몰에서 변경 가능하세요. 인터넷이 추가 할인과 혜택들이 있어 가장 좋습니다. 인터넷으로 하시길 추천드려요. 지금 바로 들어가 보셔서 변경해서 통신요금을 줄여서 사용하세요.

     

     

     

     

    2. 통신비는 반값보다도 더 저렴하게~

    알뜰폰은 기존 통신망(SKT, KT, LG U+ 3사의 통신망을 비용을 지불하고 대여, 빌려와서 소비자에게 제공)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지관리비가 없습니다. 위에서도 알려드린 데로 통신망에 대한 투자 비용이 거의 안 들어가죠. 그러므로 S사, K사, L사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통신비 부담을 확 줄일 수가 있습니다.

    알뜰폰-유심요금제
    알뜰폰-유심요금제

     

    3. 품질 걱정! 하실 필요 없습니다.

    알려드린 데로 알뜰 통신 사업자들은 기존 통신사 SKT, KT, LG U+ 3사의 통신망을 그대로 빌려와 사용합니다. 때문에 통화나 데이터품질 모두 3사와 동일한 품질로 끊김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알뜰폰이어서 잘 안 되는 거 아닌가 하는 걱정은 안 하셔도 되세요!

    알뜰폰-유심요금제알뜰폰-유심요금제알뜰폰-유심요금제
    알뜰폰-유심요금제

     

    4. 누구나 어디서든 가입은 간편하게

    근처 편의점이나 제휴처에서 유심을 구입하고 신청하면 개통까지 5분이면 끝! 셀프개통으로 편리하게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인터넷몰을 추천드리지만 혼자서 하시기가 어려우신 분들은 가까운 매장(제휴 판매점)을 이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알뜰폰-유심요금제
    알뜰폰-유심요금제



    5. 언제든 해지가능! 무약정으로 부담 없이

    유심요금제의 가장 큰 장점은 약정이 없습니다. 처음 가격 그대로 매달 납부하시면서 이용하시다가 언제든 편하게 해지 가능하세요. 휴대폰 바꿀 때가 되시면 다시 3사로 휴대폰 할인받아서 구매하시고, 쓰시다가 위약금이 적거나 없어질 때 다시 알뜰폰으로 넘어오시고 하시면 되십니다.

    알뜰폰-유심요금제알뜰폰-유심요금제알뜰폰-유심요금제
    알뜰폰-유심요금제

     

     

    4. 단점은? 알뜰폰은 왜 안 좋다고 생각하나~

    1. 인식 문제

    알뜰폰이라고 이야기만 하면 무언가 안될 것 같고, 쓰다가 먹통이 될 것 같고 하는 불안감이 존재합니다. 알뜰이라는 단어 자체가 사람들의 인식이 좋지 않게 자리 잡아 생각의 문제일 뿐 특별히 사용에 있어 큰 문제는 없습니다. 저 또한 위약금까지 내면서 알뜰요금제로 사용 중에 있는데 너무 잘 쓰고 있네요.

     

    2. 변경, 해지 등의 업무 처리는 어디서?

    이 부분이 사실상 가장 큰 문제입니다. 주변에 돌아다녀 보시면 알뜰폰 대리점은 보신 적이 없으실 거예요. 우리나라에 알뜰통신사만 60여 개가 넘게 있다고 하는데, 대리점은 사실상 하나도 없습니다. 소규모 사업자가 대부분이다 보니 전국에 대리점을 두고 사업을 할 수가 없는 거죠. 대리점이 없어도 고객센터 114로 업무 처리를 하면 되지만, 일단 연락이 잘 안 되고, 되고 나서도 처리하는데 길게는 2~3일이 걸리기도 합니다. 매우 답답하죠.

     

    저는 그래서 알뜰폰 사업자 중에도 대기업에 가까운 큰 알뜰 통신사를 이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고객센터 앱까지 제공하고, 3사와 같이 업무 처리도 매우 빠르게 해 주네요.

    알뜰폰-유심요금제알뜰폰-유심요금제
    알뜰폰-유심요금제

     

    3. 가족들 결합이 돼 있어서 고민이라면

    기존 가족결합과 인터넷 결합 할인 등은 다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어느 게 더 저렴할지는 따져봐야 합니다. 지금 지출하고 있는 통신비를 잘 확인해 보시고, 알뜰폰 요금제와 비교해 보세요. 기존 통신사 약정도 있을지 모르니 해지 시 위약금까지도 확인해 보시면 좋습니다.

    헬로모바일-대표-요금제헬로모바일-대표-요금제
    헬로모바일 대표 요금제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건 어느 통신 회사를 이용하냐가 아닌, 얼마나 저렴하게 월요금을 납부하는지입니다. 가족들 통신비(인터넷 포함)를 다 합쳐보면 20~30만 원이 우습게 넘어가는 집들이 많습니다. 무시 못할 금액이죠. 가족 중 한 분만이라도 관심을 가지시고 한 번만 챙겨보시면 가게비를 많이 절약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당장 가족들 통신 요금을 전부 확인해 보시고, 결합은 잘 되어 있는지, 쓰는 카드가 있다면 통신사 제휴카드로 바꿔서 더 할인도 받아보시고, 알뜰 유심 요금제로 변경하면 월 통신비는 얼마나 줄어드는지 등을 꼼꼼하게 한 번 정리해 보세요.

     

    비싼 통신비! 최대한 줄여서 가게비 지출을 줄여보세요!

    알뜰폰-유심요금제
    알뜰 유심 요금제

     

    반응형